리액트 개발을 조금 더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들에 대해서 알아보자.
첫 번째로 알아볼 도구는 'Prettier'인데 자동으로 코드의 스타일을 관리해주는 도구이다.
예를 들어 문자열을 표현할 때 작은따옴표를 쓸지, 큰 따옴표를 쓸지 또는 코드의 뒤에 ;(세미콜론)을 붙일지 말지
들여 쓰기는 얼마나 할지와 같은 것들을 관리해 줄 수 있다.
이 Prettier의 특징은 코드의 스타일을 사용자의 마음대로 쉽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점이다.
오른쪽에 나와있는 옵션들을 하나하나 커스터마이징 해줄 수 있다.
Prettier는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HTML, CSS 코드의 스타일도 관리할 수 있고 React, Angluar, Vue 등의 라이브러리도 지원해주기 때문에 굉장히 사용성이 좋다.
Prettier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쓰는 것이다. 특정 디렉터리에서 Prettier명령어를 사용하면
모든 코드가 우리가 정한 규칙에 따라 코드 스타일이 바뀐다.
Pre-commit Hook을 사용해서도 Prettier를 사용할 수 있다.
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에디터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인데, 코드를 저장할 때 Prettier를 사용해서 정리가 되도록
설정해두면 아주 편하다.
VScode에서 Prettier를 사용해보자.
먼저 'npx creat-react-app useful-tools'이라는 명령어로 use-tools라는 이름의 새로운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자.
다음으로 확장(extension)에 들어가서 Prettier를 검색하고 가장 위에 있는 Prettier - Code formatter를 설치해준다.
그다음 프로젝트의 디렉터리에 새 파일을 만들어주어야 한다. 파일 이름은 '.perttierrc'이고 이 파일에서 Prettier에서
사용할 속성을 넣어줄 수 있다.
{
"trailingComma": "es5",
"tabWidth": 4,
"semi": true,
"singleQuote": true
}
trailingComma 속성은 객체를 선언하게 될 때 각 항목마다 쉼표를 넣는 것을 의미한다. 배열에도 마찬가지
none으로 설정하면 쓰지않겠다는 것이고 es5면 es5에서 지원하는 정도로 다 넣겠다는 의미이다.
tabWidth 속성은 들여쓰기를 얼마나 할지 정하는 것이다. 기본값은 4
semi 속성은 세미콜론을 쓸지 말지 정하는 것이다.
singleQuote는 작은 따옴표를작은따옴표를 뜻하며 true로 설정하면 작은따옴표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.
다른 속성들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서 적용하면 된다.
Prettier를 사용해서 코드를 정리하려고 할 때는 F1키를 누르고 Format Document를 입력해 클릭하면 된다.
우리가 .prettierrc에 따라서 코드가 자동으로 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만약 파일을 저장할 때마다 자동으로 Prettier를 사용하고 싶다면 '파일 > 기본 설정 > 설정'으로 가서 format on save를 검색하고 해당 항목을 체크해주면 된다.
'Reac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(리액트): ESLint - 자바스크립트 문법 검사 도구(vscode ESLint) (0) | 2021.08.09 |
---|---|
React(리액트): class형 컴포넌트(클래스형 컴포넌트), state와 setState (0) | 2021.08.08 |
React(리액트): immer 라이브러리 사용한 불변성 관리 (0) | 2021.08.08 |
React(리액트): Context API를 사용한 전역 값 관리 (0) | 2021.08.06 |
React(리액트): 커스텀 Hook 만들어 사용하기 (0) | 2021.08.02 |